본문 바로가기

728x90

시장

(9)
한국, 일본, 미국의 기준금리 발표일(한국시간기준) 한미일의 기준금리 발표일을 정리해봤습니다.4월 5일인 지금기준가장 가까운 기준금리 발표일은한국의 4월 11일 입니다.그 다음은일본의 4월 25일 입니다.한국은 계엄 이후 첫 기준금리 발표 입니다.미국과의 환율 차이로 인해 인하는 힘들어 보입니다.일본은 가파르게 오른 물가로 인해기준금리를 인상해야 하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미국은 금리를 낮추고 싶어하는거 같은데5월보다는 6월정도에 기준금리를 낮추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한국일본미국1월 16일1월 21일1월 30일2월 27일 3월 19일3월 20일4월 17일4월 25일 5월 22일 5월 8일 6월 13일6월 19일7월 10일7월 29일7월 31일8월 21일 9월 19일9월 18일10월 23일10월 30일10월 30일11월 27일 12월 19..
2024년 08월 06일 화요일 어제의 하락은 오늘의 상승 너무 지나치게 하락해서인가? 오늘은 국내장의 시작과 함께 매수사이드카가 발동되었다.어제 상승했던 엔화와 유가는 하락하고, 어제 하락했던 대부분의 주식은 상승했다. 참으로 알기 힘든 국내 증시다. 얼마전 청약으로 받은 아이빔테크놀로지는 장 초반에 하락하더니 오후에 급등 후 약간의 상승마감하였다. 통닭값이라도 버나 했는데... 힘들어 보인다. 하필 상장시점에 이런일이 벌어지는 바람에 참으로 아쉽다. 그래도 오랜만에 2주나 받았는데 말이지.비트코인과 이더리움도 어제에 비해 조금은 복구된 것으로 보인다. 물론 난 가지고 있진 않지만 말이다.내일 주가가 하락한다면 물타기를 해야할까? 아니면 관망해야 할까? 추세를 하락할 것으로 보이는데...
2024년 08월 05일 월요일 하루 하락폭이 코스피 -8.77%, 코스닥 -11.3% 지난 금요일 국내증시는  무었때문인지 제법 많은 하락을 했다. 역시나 이 날 미국의 증시는 상상했던 것 이상으로 폭락을 했다. 미 대선 때문인지, 중동에서의 새로운 전쟁(이란?) 때문인지, 아니면 7월 31일 일본의 기준금리 인상 때문인지 정확한 원인은 모르겠지만 주식시장이 거의 수직에 가깝게 폭락을 했다. 아침 한국장이 열리고 주가창을 보니 내가 가지고 있던 종목이 -1%정도여서 반등을 할꺼라 생각을 하고 매도를 안했는데 이게 어느새 -13%가 되어 있었다. 살짝 정신을 놓긴 했는데 햇지용으로 가지고 있던 원유곱버스와 엔레버리지의 도움으로 계좌 전체로 봐서는 상승마감하였다. 이해를 하기 어려운 점이 하나 있는데 중동에서 전쟁이 나면 당연히 원유의 가격이 오를 것이라 생각했는데 왜 떨어지는 걸까? 전쟁보..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일을 알려드립니다. 금리 결정에 앞서 발표되는 지수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소비자물가지수, CPI라고 하는 지수입니다. 소비자관점에서 상품과 서비스가격변동을 측정해서 인플레이션의 변동을 측정하는 한 방법인데, 수치가 예상보다 높으면 달러의 가치 전망이 긍정적이고, 낮으면 부정적이라고 합니다. 2023년 2월의 소비자물가지수 발표일은 3월 14일 21:30분 입니다. 1월에는 6.4%이고, 2월 예상은 6.0% 입니다. 과연 2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어떻게 발표될지 궁금해집니다. 오늘 저녁 9시 반에 발표이니 투자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SVB가 뭐 하는 곳인가? 지난 주말부터 뉴스에 계속 보이기 시작한 SVB라는 곳에 대해서 좀 검색을 해 봤습니다. 미국의 실리콘밸리은행(Silicon Valley Bank)의 약자이며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실리콘밸리에 기반을 둔 은행입니다. 자산규모로는 미국 16위 이며, 주된 고객은 미 서부 스타트업 기업들이라고 합니다. 이번 파산이 미국 역사상 파산한 은행 중 2위의 규모를 가진다고 하니 이번 사태로 인해 국내 증시에 미칠 영향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보통 은행이 파산한다고 하면 뱅크런이 일어나고 관련된 파생상품에서 큰 손해를 가져오기도 합니다. 또한 해당 은행에서 대출받은 스타트업 업체들도 타격이 적지 않겠죠? 당장 남의 야기가 아닌 것이 한국의 연기금이 작년에 이 곳에 투자를 많이 늘린것으로 알려지면서 연기금의 ..
Fed의 이번 금리인상은 0.5%가 될 것인가? 어젯밤 NYSE와 S&P, Nasdaq의 지수는 각 -1.72%, 1.53%, 1.25% 하락 마감하였습니다. 이유로는 Fed의 의장인 제롬 파월 의장이 기준금리 +0.5%를 시사하는 발언을 하였다고 합니다. 만약 0.5%를 인상하게 된다면 한국은행기준금리와 비교하여 1.75%의 차이를 보이게 됩니다. 이럴경우 당장 환율과 4월에 있을 한국은행기준금리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는데요. 1주일 남은 미연준 기준금리. 어떻게 될까요?
2023년 미 연준의 두 번째 기준금리 발표는 3월 23일 입니다. 미 연준의 기준금리 발표가 2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0.25%를 올리는 베이비스텝은 70%정도, 0.5%를 올리는 빅스텝은 30%정도로 전문가 들은 예상한다고 합니다. 현 한미기준금리차이는 1.25%입니다. 과연 이 이상으로 금리차이가 벌어진다면 우리 경제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지 궁금해 집니다.
2023년도 두 번째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발표되었습니다. 2023년 2월 23일 한국은행의 두 번째 기준금리 발표가 있었습니다. 1월에 미연준의 기준금리가 0.25% 인상되었지만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인상하지 않았습니다. 1월과 같은 3.5% 입니다. 이로서 미연준과의 금리차는 1.25%를 유지하게 되었습니다. 3월달에 미 연준의 기준금리 발표가 있고 0.25%의 기준금리를 인상한다는 의견(약 70%)과 0.5%의 기준금리 인상을 한다는 의견(약 30%)이 있는데 이 이상으로 금리차가 벌어졌을 때 어떻게 대응을 할지 모르겠습니다. 금리차가 이렇게 많이 벌어지면 환율도 더 상승할 텐데요.
서울시 강남구 아파트 입주물량(2000~2024) 서울시의 강남구 아파트 입주 물량 그래프 입니다. 올 해인 2023년부터 입주 물량이 많아 보입니다. 이 물량을 다 받아낼 수 있을까요? 서울의 아파트 가격은 어떻게 될까요? 2024년 강남의 아파트에 다 입주하게 된다면... 2025년 01월에는 둔촌주공아파트도 재개발이 끝나서 입주하게 되죠.

728x90